FE/JavaScript

직접 정리 해보려했는데 설명해야하는 양이 많아 어떻게 정리해야하지..하던 도중 아주 잘 정리된 포스트 발견! https://blog.gamguma.dev/post/2022/04/js_execution_context JS Execution Context (실행 컨텍스트) 란? | 감구마 개발블로그 코어자바스크립트를 읽고 얻은 지식 중 실행 컨텍스트, 콜스택 | JS Execution Context, JS CallStack blog.gamguma.dev 너무 알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었다.
function createCounter() { let count = 0; } 현재 count 변수는 Closure가 적용되기 전이라 자유 변수 function createCounter () { let count = 0; return function (){- 익명 함수가 호출 될 때 마다 현재 count값을 1씩 증가시킨다. count += 1; return count; } } const myCounter = createCounter(); console.log(myCounter());// 1 console.log(myCounter());// 2 console.log(myCounter());// 3 이때 익명 함수가 Clousure의 핵심 Closure 덕분에 count +=1의 count 변수가 상태를 ..
열린 변수를 닫힌 변수로 만든다. 람다 함수에서 온 개념. 내부 함수가 외부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때 생성 열린 람다식 하나 이상의 자유 변수를 포함하는 람다 표현식 자유 변수란 ?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변수를 의미, 외부에서 정의되고 이로부터 참조되는 변수 닫힌 람다식 내부에 자유 변수가 없는 람다 표현식 자유 변수가 닫힌 람다식 Closure에 의해 닫히면 묶인 변수가 된다. 이렇게 되면 종속 변수 또는 제한 변수라 불리게 되고, 클로저가 활성 상태인 동안에는 클로저가 해당 변수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중으로 간주하여 메모리를 해제하지 않는다. 변수의 메모리 할당이 계속 된다는 뜻 (가비지 컬렉터의 대상에서 제외) 반대로 참조가 없어지면 ( 클로저가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면) 가비지 컬렉터에 의..
yun_9
'FE/JavaScript'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